화성학 썸네일형 리스트형 작곡과 편곡에 대해 알아보자 작곡과 편곡에 대해 알아보자 우리는 흔히 작곡과 편곡을 같은 작업이라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작곡과 편곡은 엄밀히 다른 작업이며, 차이점이 확실합니다. 작곡은 흔히 곡을 쓰는 일, 즉 창작에 해당하는 작업을 말하며, 영어로는 composition, 또는 song writing이라고도 합니다. 작곡을 하는 방법은 사람마다 다르답니다. 멜로디를 먼저 쓴 후 그에 맞는 가사와 반주를 붙이는 사람이 있는 반면, 가사를 먼저 써내려 간 뒤에 멜로디와 반주를 넣는 사람도 있답니다. 여기서 바로 편곡에 해당하는 부분이 나온답니다, 바로 '반주'가 이에 해당하는 작업이랍니다. ▶ 편곡(arrangement) 편곡은 음악에서 멜로디를 뒷받침하는 부분, 예를 들어 반주, 코러스 등을 만드는 작업을 뜻합니다. 멜로.. 더보기 대표적인 현악기 바이올린(violin) 대표적인 현악기 바이올린(violin) 현대에서 현악기를 말하라고 한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바이올린을 가장 먼저 떠올릴 거랍니다. 그만큼 친숙하고 접할 기회가 많은 현악기가 바로 바이올린이기 때문입니다. 요즘은 작곡을 공부하는 친구들 사이에서도 바이올린을 서브 악기로 배우는 경우도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작곡을 할 때 다양한 악기에 대해 잘 알고 있다는 것만큼 큰 장점이 없답니다. 그런 의미에서 피아노(건반악기)와 다른 악기 한가지는 꼭 접해 보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될 겁니다. 혹시 앞의 4성부 합창 편곡에 대한 포스팅을 읽어 보셨나요? 소프라노, 알토, 테너, 베이스에 어떤 화음을 쓰고 어떤 음에 넣는지에 따라 화성이 달라지면서 음악의 퀄리티가 달라지는 것에 대해 써놓았는데요, 이 4성부 편곡.. 더보기 곡의 분위기 마법사 템포 곡의 분위기 마법사 템포(Tempo) 혹시 같은 노래를 느리게, 중간 빠르기로, 아주 빠르게 처럼여러 가지의 속도로 연주하거나 노래를 불러보신 적 있으신가요? 동일한 곡이라고 연주자가 어떻게 연주하느냐에 따라 곡의 분위기가많이 바뀐답니다. 우리 같이 동요 '산토끼'를 불러 보도록 해봅시다.한번은 느리게, 또 한 번은 빠르게 불러볼게요. 곡을 부르는 속도(템포, tempo)에 따라 곡이 완전히 다른 분위기로바뀌는 거 느껴지시나요? 보통 템포가 빠르면 신나는 느낌이 들고,느리면 슬픈 거나 우울한 느낌이 나는 노래로 들린답니다. 이렇게 곡의 속도만 달라져도 곡의 분위기가 바뀌는데요.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템포에 대해 적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 템포(tempo)원래는 '시간', '때'를 뜻하며 음악에서는 빠.. 더보기 셈여림, 음자리표, 다카포(D.C)란? 셈여림, 음자리표, 다카포(D.C)란? 내 곡에 맞는 박자와 셈여림, 노래의 부분 이동이나 반복을 표현하고 싶을 때 혹시 음악기호를 몰라 찾아 헤맨 적 있으신가요? 분명 배웠는데 그때뿐인 기억력을 탓하면서 다시 찾고 찾고 또 찾고 하진 않으신가요? 제가 찾고 찾고 또 찾고 했답니다. 그래서 준비한 포스팅이랍니다. 화성학이라고 하기도 뭐한 음악이론의 기초 중의 기초인 셈여림, 음자리표, 곡의 반복과 이동을 표시하는 기호인 다카포(D.C)와 달 세뇨(D.S) 등등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 음자리표 보표(5선)에서 음표만으로는 정확한 음의 높이를 확인할 수가 없는데, 음의 높이를 정하는 기준이 되게 도와주는 기호를 음자리표라고 합니다, 음자리표는 악보의 가장 처음에 나타나 있고, 종류도 여러 가지.. 더보기 피아노에 대해 알아볼까요? 피아노에 대해 알아볼까요? 작곡을 공부하는 학생들이 많이 사용하는 악기 중 하나가 바로 피아노랍니다. 우리나라 아이들이 거의 필수로 배우게 되는 피아노에 대해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검은색, 흰색 건반을 누르면 소리가 나는 악기" 이 정도로만 알고 계시지는 않은가요? 작곡할 때 필수품이기도 한 피아노에 대해 오늘은 조금만 더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 보겠습니다. ▶ 피아노(piano) 피아노의 최초 제작연도는 1689년에서 1710년경으로 추청 되고 있습니다. 최초로 제작한 곳은 이탈리아의 피렌체로 알려져 있고, 그랜드 피아노, 업라이트 피아노(버티컬 피아노)의 두 종류가 있습니다. 피아노를 부르는 명칭이 나라마다 다른 건 아시나요? 영미권에서는 피아노(piano), 피아노포르테(pianoforte.. 더보기 웅장함의 끝판왕 오케스트라(Orchestra)에 대한 이야기 웅장함의 끝판왕 오케스트라(Orchestra)에 대한 이야기 악곡의 형식까지 배웠으니 잠시 쉬어가는 시간을 준비해봤습니다. 그동안 수학 같은 화성학 때문에 머리가 지끈지끈하셨나요? 그래서 준비해 봤습니다. 바로 오케스트라(orchestra)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오케스트라'에 대해 생각해 보면 무대 위에 지휘자가 있고, 지휘자에 맞춰 음악을 연주하는 많은 연주가들과 악기가 떠오르실 겁니다. 하지만 정확히 어떤 악기가 어디에 자리를 잡고 있는지는 모르실 거예요. 지금부터는 이러한 내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오케스트라(ochestra)란 무엇인가요? 오케스트라는 합주의 한 형태를 말합니다. 모든 악기의 연주를 총괄하고 소리들이 아름답게 어우러지게 지휘하는 지휘자가 한 명 존재하고,.. 더보기 곡의 형식, 구조에 대해 얼마나 아시나요? 한도막형식, 두도막형식, 세도막형식에 대한 이야기 많은 사람들이 곡을 만든다고 하면 멜로디만 뚝딱 녹음하면 된다고 생각하는 거 같습니다. 물론 멜로디가 가장 중요하죠. 하지만 그 멜로디 라인도 배울수록 다양해진다는 거 다들 아시나요? 사람의 뇌라는 게 신기하게도 배우지 않으면 딱 거기에서 멈춰있고, 배우면 배울수록 창의력 또한 높아진답니다. 창의력도 훈련이 필요합니다. 오늘은 작곡의 기본 중 기본인 악곡의 형식과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바로 전 포스팅에서 한도막형식에 대해 짧게 언급한 후 동요 '학교종'을 예로 들었었는데요. 오늘은 좀 더 깊게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 동기(motive) 동기는 음악을 구성하는 요소 중 독립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최소 단위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음이 2개.. 더보기 이제는 실전이다. 8마디의 곡을 써보자! 한도막 형식의 곡을 써보자! 모두들 기초 화성학 열심히 배우고 있으신가요? 지금까지 배운 모든 것들을 이제 내가 쓴 곡에 사용해 보는 시간을 가져볼까 합니다. 아무리 이론적으로 완벽하다 해도 실전에서 사용하지 못하면 배우는 의미가 없으니까요. 일단 곡에는 형식이라는 게 있답니다. 다들 음악시간에 배워봤을 거랍니다. 여러분 혹시 한도막형식, 두도막형식, 세도막형식이라는 게 있다는 거 기억하시나요? 간단히 말하면 작곡을 할 때의 큰 틀이라고 알고 계시면 된답니다. 오늘은 저것들을 전부 배우지는 않을 거고, 간단한 곡을 쓰는 게 목표니까 한도막 형식에 대해 간단히만 짚고 넘어갈게요. ▶ 한도막형식 (one part form) 작은악절(4마디) 2개로 이루어진 8마디의 곡을 뜻합니다. 보통 민요나 동요에서 많이.. 더보기 노래의 마무리 법칙, 바른마침이란 무엇인가? 노래의 마무리 법칙, 종지(cadence)란 무엇인가? 우리는 지금까지 곡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어떤 화음들이 쓰이고, 그 화음들이 어떻게 연결되면 좋은지에 대해 알아봤었습니다. 내가 좋은데로 막 사용하는 것보단 많은 작곡가들이 사용한 법칙을 이용해서 곡을 쓰면 훨씬 좋은 소리를 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제일 중요한 멜로디를 만들면, 그에 어울리는 반주를 만드는 과정이 필요하고, 이 과정에서 화성의 아름다운 진행을 위해서 우리가 하면 좋은 것들과 하면 안 되는 것들을 확실히 공부를 했다면, 지금부터는 곡의 아름다운 마무리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종지(Cadence) 앞의 포스팅에서 배운 화성 진행의 연결을 이용하면 끝을 알 수 없도록 긴 곡을 만들어 낼 수 .. 더보기 4 성부 합창 편곡의 베이스 실전편 4 성부 합창의 그 마지막 베이스 실전 편 드디어 4 성부 합창의 끝이 다가왔습니다. 끝까지 제 포스팅을 읽어 주신 분들 고맙습니다. 오늘은 베이스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아 보겠습니다. 베이스 문제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소프라노 문제보다 쉽게 해결하더라고요. 학생들은 아무래도 주어진 소프라노에 베이스를 넣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는 거 같았습니다. 그 이유는 어떤 음을 베이스에 넣느냐에 따라 4 성부 합창곡이 더 돋보이기도 하고 그냥 평범한 곡, 누구나 만들 수 있는 곡이 나오기도 하답니다. 이런 이유로 소프라노 문제를 풀어보면 그 학생의 실력이 확 나타난답니다. 반면, 베이스 문제는 주어진 '음'안에서 소프라노에 넣을 음을 선택하면서 멜로디를 작곡하는 것이기 때문에 접근하기..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