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성학

first inversion chord(제 1전위, 화음의 자리바꿈)은 꼭 해야하나요? first inversion chord 우리말로 제 1전위, 자리바꿈이라고 부릅니다. 앞에서 배운 주3화음의 자리바꿈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전 포스팅에 배운 주3화음 기억하시죠? 초등학교 때부터 지겹도록 배운 으뜸화음(Ⅰ), 버금딸림화음(Ⅳ), 딸림화음(Ⅴ) 이것들을 어떤 조에서든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해서 주 3화음이라고 부른다. 이렇게 알려드렸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좀 더 깊숙이 들어가 볼게요. 깊숙이라기보다는 주 3화음 안에 있는 음들의 위치를 살짝 바꿔서 연주를 편하게 할 수도 있고, 아래 저음(BASS)을 좀 더 그럴싸하게 만들어 줄 수 있는 방법이랍니다. ▶ 전위(inversion) 전위란 음정 · 화음 · 선율의 상하 관계를 뒤집는 것을 가리키는 음악 용어를 말한답니다. 쉽게 말하.. 더보기
주3화음의 첫째, 으뜸화음 너만 알면 다 배운거지! 주 3화음의 첫째, 으뜸화음 너만 알면 다 배운 거지! 드디어! 3화음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이 왔습니다. 지금까지 배운 모든 것들이 이제부터 힘을 발휘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모든 공부에서 기초는 탄탄히 해야 그다음이 술술 풀린다는 거 다들 알고 계시죠? 그 동은 배운 음정, 조와 조성, 화음의 성질 이 것들이 모두 합쳐진 것이 오늘부터 배우게 될 3화음 및 4화음에 모두 들어있으니까 혹시 아직도 위에 언급한 내용들을 잘 모르겠다면 노래 언니의 앞 선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그럼 시작합니다! ▶주 3화음 (Primary Triads) 위 그림을 보자마자 음악시간이 떠오르시나요? 어렸을 때부터 계속 들어왔던 으뜸화음, 버금딸림화음, 딸림화음을 우리는 가장 중요한 화음들이란 이름을 붙여서 이라고 부르고 .. 더보기
풍성한 소리를 만들어 주는 화음 만드는 법 풍성한 소리를 만들어 주는 화음(chord) 만드는 법 앞에서 배운 음들은 반주 없이 하나의 선율로만 이루어진 단선율이었습니다. 오늘 배울 내용은 이런 단선율에 반주를 붙일 수도 있고, 여러 명이 각각 다른 음을 불러 풍성한 소리를 만들어 줄 수 도 있는 내용입니다. 바로 화음, 영어로는 코드(chord)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화음의 성립 높이가 다른 두 개 이상의 음이 동시에 울릴 때 이를 화음(코드, chord)이라고 하며, 일정한 법칙에 따라서 연결된 화음을 화성(Harmony)이라고 합니다. 보통 3도 간격으로 쌓아 올려진 세개의 음(3화음)이 화성학에서 다루어지는 화음입니다. 그렇다고 꼭 3개의 음이 쌓아져 있어야만 화음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2개의 음이 쌓여도 가능하며, 4개로 .. 더보기
스치듯 조바꿈,나에게 맞게 조옮김 하기 스치듯 조바꿈(Modulation), 나에게 맞게 조옮김(Transposition) 하기 드디어 극강의 어려운 소제목을 가지고 왔습니다. 백병동 화성학 보면 정말 짧고, 간략하게 설명하고 넘어가고 있는데, 우리에게는 그렇지 않죠.. 많이 어렵습니다. 글로 풀어쓰면 전달이 잘 될까 싶어서 고민도 많이 했는데요, 그래서 제목처럼 스치듯 조바꿈 살짝 배워보고, 내 음역대에 맞게 조옮김하는 법도 살짝만 맛보기로 전달해 드릴게요. 제가 친구들을 가르쳐 본 결과 지금 배우는 것보단 주 3화음과, 부 3화음을 배운 후 다시 한번 배우는 게 훨씬 낫더라고요. 학생들도 받아들이는 게 훨씬 빨랐습니다. 그러니까 지금 저의 포스팅을 너무 심각하게 보지 마시고 스치듯 봐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주 3화음과 부 3화음 배운 후 좀.. 더보기
관계조와 나란한조 어렵지 않아요 관계조와 나란한조 어렵지 않아요 학생들을 가르치다 보면 어느 부분은 쉽게 훅훅 넘어가기도 하고 어느 부분은 정말 어렵게 어렵게 겨우 겨우 넘어가기도 하는데 관계조에 대해 배우기 시작하면 쉽게 넘어가는 친구들이 없었습니다. 그 이유를 곰곰이 생각해 보니 내용이 어렵진 않지만 앞에서 배운 기초 부분이 충분히 학습이 되지 않으면 해답을 도출할 수 없기 때문인 거 같았어요. 일단 관계조를 알려면 음정, 음계, 조와 조성 앞에서 배운 모든 것들이 머릿속에서 정리가 되어 있고 이해가 되어있어야 한답니다. 그래야 지만 딱딱 해답이 나올 텐데 위에 것 중 한 가지라도 부족하다면 어렵게 느껴지는 부분이기 때문에 관계조가 어려울 수밖에 없어요. 그러니, 관계조를 공부하다 어렵게 느껴진다면 앞의 부분을 천천히 다시 한번 공.. 더보기
어렵지 않은 조표 붙는 순서와 으뜸음 찾기 어렵지 않은 조표 붙는 순서와 으뜸음 찾기 초등학교 때부터 고등학교 때까지 음악 시험에 아주 아주 단골로 나오면서 어렵기도 했던 조표 붙는 순서와 그에 따른 으뜸음 찾는 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는 으뜸음을 내가 정하고 그에 맞게 반음을 넣어서 장음계(Major scale)와 단음계(Minor scale)를 만드는 법을 알아봤었는데요. 이렇게만 하면 모든 장음계와 단음계를 만들 수 있고, 이때 사용한 음시표들을 모두 모아 악보 첫 부분에 이쁘게 그려 넣어주면 이게 바로 조표가 된답니다. 장음계, 단음계에 대해서는 이전 포스팅 '조와 조성'을 참고해 주세요 ▶ 조표 (key signature) 조표는 작곡가가 자신만의 느낌을 살리거나 가수의 음역대에 맞추기 위해 사용하기도 하는 임시.. 더보기
조(key)와 조성 조(key)와 조성 조란 어떤 곡, 또는 그 곡의 부분에서 음을 정리한 음조직 중 지배적이고 중심적인 한 음을 으뜸음으로 하고, 그 으뜸음이 음악 전체의 미치는 힘을 말합니다. 즉, 어떤 음을 으뜸음으로 정하여 어떤 음계를 사용하느냐 하는 것은 악곡의 성질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그 으뜸음과 음계 (scale)의 관계를 조, 그 성질을 조성이라고 합니다. 또한, 장음계 (Major scale)의 조는 장조 (major) , 단음계 (Minor scale)의 조는 단조 (Minor)라고 합니다. 장음계와 단음계에 대한 설명은 이 전 포스팅을 봐주세요. ▶ 조(Key) 장음계와 단음계 모두를 이용하여 으뜸음을 만들어 7개의 음으로 조를 만들면 총 12개의 조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위의 건반 사진에서 보듯이 모.. 더보기
음계(Scale) 어렵지 않아요 음계(Scale) 음계의 의의 음악에 쓰이는 음을 높이의 차례대로 배열한 음의 층계를 말한다고 합니다. 그냥 쉽게 말하면 도에서 높은 도 사이에 있는 음들을 말하는데요, '도레미파솔라시도' 이것들을 음계라고 생각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원래는 나라 또는 민족이나 시대에 따라 음의 수나 구조가 모드 달랐거든요. 우리나라만 하더라도 5음계 ‘궁(宮) · 상(商) · 각(角) · 치(徵) · 우(羽)’ 서양 음계에 비교하면 '도, 레, 미, 솔, 라'의 오직 5음만으로 음악을 만들어서 들었었습니다. 하지만, 현재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것은 도,레,미,파,솔,라,시를 사용하는 7음 음계입니다. 이 7음 사이의 음정 구조에 따라 장음계와 단음계로 나뉘어 질 수 있어요. 혹시 아직도 음정을 모르시겠다면 전 포스팅.. 더보기
음정의 종류와 찾는 방법 음정의 종류 앞 포스팅에서 음정을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에서 그 음정을 어떻게 부르면 되는지에 대해 써보겠습니다. 막연히 2도, 3도, 7도 이렇게 부르는 것보단 그 음정들의 성격에 따라서, 즉 개성이 드러나게 이름을 붙인 거라고 생각하시면 된답니다. 아마 중학교 음악시간에 배운 기억이 날 수도 있고, 긴가민가 할 수도 있는데 쉽게 쉽게 풀어서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혹시 음정이 뭔지 아직 잘 모르겠다 하시는 분들은 앞의 포스팅을 슬쩍 보고 와 주세요! 음정은 그 성격, 개성에 따라 크게 4가지 정도로 구분을 할 수 있습니다. 동시에 두 개의 음을 부르거나 연주했을 때 화음이 들리는데 그 화음이 내가 듣기에 어울리는지, 그렇기 않은지에 따라 구분된다고 알고 있으면 됩니다. 듣지 좋은 소리인.. 더보기
음 정 (Interval) 구하는 방법 음 정 (Interval) 클래시 화성학이나 실용화성학에서나 가장 기본이 되는 음정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 보겠습니다. 음정이라고 해서 어렵게 느낄 필요는 없습니다. 그냥 모든 음악이 음정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간단히 정의 내리면 '두 음 사이의 간격'이라고 합니다. 가장 쉬운 '도레미파솔라시도' 8개의 음을 피아노로 연주하다고 생각하고 설명을 시작해 보겠습니다. 도. 도 ----> 같은 도를 두 번 치면 1도. 도. 레 -----> 도를 치고 바로 옆에 있는 레를 치면 2도. (도. 레---> 도부터 레까지 2칸이니까 2도) 도. 미 ----> 도를 치고 레 옆에 있는 미를 치면 3도. (도. 레. 미 ---> 도부터 미까지 3칸이니까 3도) 도. 파 -----> 도를 치고 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