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학 썸네일형 리스트형 경과음과 보조음을 알고계시나요? 비화성음 중 경과음(Passing tone)과 보조음(Neighbouring tone) 오늘 포스팅할 주제는 바로 비화성음(Non-Harmonic tone)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그동안 곡 분석을 많이는 아니지만 해보았는데요, 혹시 제가 곡 분석을 할 때 비화성음이라고 적어 놓은 것 기억이 나시나요? 이번 시간에는 그런 음들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모든 음악이 화음 안에 있는 음들로만 이루어져 있다면 어떨까요? 굉장히 심심하고 재미없는 곡들이 탄생하게 될 거랍니다. 그래서 멜로디(소프라노)의 선율을 좋은 소리로 만들기 위해 사용하게 된 , 화성 밖의 음들을 비화성음이라고 하는데요, 이런 비화성음에도 여러 가지의 종류가 있습니다. 오늘은 경과음(Passing tone)과 보조음(Neighbouring .. 더보기 페르마타,스타카토등의 연주방법 기본 중의 기본, 여러 가지 연주법(창법)에 대해 알아보자!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본이지만, 정확히는 잘 알지 못했던 연주 기호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흔히들 스타카토라고 하면 그 음을 짧게만 연주하는 것으로 알고 있을 텐데요, 정확한 연주법은 따로 있답니다. 페르마타 역시 여러 용법이 있고요, 다들 지금부터 천천히 확인해 주시면 됩니다. ▶ 이음줄(슬러, slur) 음높이가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음을 이은 줄을 말합니다. 곡선으로 표시를 합니다. 연주법은 이음줄이 시작되는 음에서부터 끝나는 음까지 부드럽게 이어서 연주하라는 말과 같습니다. 레가토(legato)와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위의 악보를 봐주세요. 이음줄의 시 작음인 '도'부터 줄의 끝나는 음인 '미'까지를 최대한 부드럽게 음이 끊어지.. 더보기 바로크시대의 뮤지컬, 오페라(Opera) 오페라(opera), 오라토리오(oratorio), 칸타타(cantata) 이번 포스팅에서는 성악곡의 종류에 대해 살펴보려고 합니다. 중세 성가는 하나의 멜로디로 노래하는 단성 음악이었습니다. 악기반주가 없는 무반주 하나의 멜로디로 된 그레고리오 성가로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단성 음악에서 다성음악으로, 즉 여러 개의 성부가 동시에 노래하는 것으로 발전하였습니다. 이렇게 무반주의 멜로디에 가사가 붙은 여러 개의 독립된 성부들이 조화를 이루는 다성 합창곡을 '모테트(motet)' 또는 '모테토(motetto)'라고 하는데 프랑스어 '모(mot)'에서 나온 단어입니다. ▶ 바로크 시대의 성악곡의 종류 유럽을 중심으로 16세기 말에서 18세기 중기까지 약 150년간의 음악을 일컬어 바로크 시.. 더보기 베토벤 소타나의 짧은 곡 분석 베토벤 소타나의 짧은 곡 분석 날씨가 많이 추워졌어요. 감기 조심하시고, 좋아하는 음악 들으면서 힐링하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바로 전에 포스팅한 베토벤의 곡 분석을 해보려고 합니다. 소리가 들리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곡을 탄생시킨 하늘이 내린 천재였던 베토벤은 곡에 어떤 화성과 멜로디를 썼는지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많은 곡들 중 제가 가져온 곡은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입니다. 요즘 계속 포스팅했던 속 7화음(Dominant 7th Chord)과 감 7화음(Diminished 7th Chord)이 어떻게 사용되었고, 어떻게 해결이 되어있는지 공부할 수 있는 부분을 발췌하였습니다. ▶ 곡 분석 순서 1. 눈으로 멜로디를 따라 읽으면서 곡 분위기와 조성을 파악합니다. 2. 모티브(동기)가 어.. 더보기 하늘이 내린 천재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위대한 천재 음악가 베토벤에 대하여... 우리가 가장 많이 듣는 클래식 작곡가 중 이 세상 사람 중 모르는 사람이 없는 위대한 작곡가이자 연주가인 베토벤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앞으로 곡 분석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게 될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에 대해서도 짧게 언급하도록 하겠습니다. ▶ 생애 베토벤의 생애는 그의 음악 양식과 결부 지어 초기/중기/후기(1기/2기/3기)로 분류하는 것에 관례화 되어 있습니다. * 전기 - 태어난 곳인 독일의 본 시절부터 모차르트, 하이든의 영향이 느껴지는 빈 전기 시기까지를 말합니다. * 중기 - 모차르트, 하이든의 영향에서 벗어나 본인만의 작곡법을 수립했던 1810년대 후반까지를 말합니다. * 후기 - 청력을 완전히 잃은 후 본인만의 작곡법의 독자성을.. 더보기 3화음보다 한 단계 높은 7화음과 속7화음(Dominant 7th chord) 7화음(Seventh Chord)과 속 7화음(Dominant 7th Chord) 오늘 포스팅의 주제는 제목에도 나와있듯이 '7화음'입니다. 우리가 지금까지 공부한 3화음 만으로도 충분히 훌륭하고 좋은 소리를 얻을 수 있지만, 오늘 공부하게 될 7화음에 대해 알게 된다면 소리의 신세계를 경험하실 수 있습니다. 아주 감미로운 소리를 만들어주는 7화음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언제 사용하면 좋을지에 대해 바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7화음 ( Seventh Chord) 음계(scale)상의 어떤 음을 근음(1번째 음, root)으로 한 후, 이 근음으로부터 위로 3도, 5도, 7도의 음을 쌓아 만든 화음을 말합니다. 쉽게 설명하면 우리가 열심히 공부 한 3화음 위에 근음으로부터 7도의 음을 하나 더 추가.. 더보기 곡의 화성분석 (멘델스존) 악곡 분석 많이 하시나요?곡 분석만큼은 작곡을 직접 하는 것 이상으로 많이 중요하답니다. 실제 곡에서 어떻게 화성들이 쓰였는지를공부하고 분석하는 것이 작곡할 때 가장 큰 도움이 됩니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은 멘델스존의 곡 중 일부분을 가져와 봤습니다.지금부터 같이 화성 분석을 시작해 봅시다. 딱 보자마자 어렵게 느껴지시나요?곡 분석 같은 거 하기 싫어지시나요?겁먹을 필요 없답니다.보기에만 어지럽고 어렵게 보이지 하나하나 뜯어보면 정말 기초 화성으로만 이루어진 곡이랍니다. 곡 분석 첫 번째는 조성파악이랍니다. 멜로디 라인 살펴보고 아래 반주도 살펴보니 임시표는 보이지 않고 맨 앞에 조표에도 아무것도 보이지 않습니다. 이것만 보고도 우리가 좋아하는 C Major(다장조)라는 것을 알 수 있고,더 확실히 하기.. 더보기 악곡의 화성분석을 해보자! 앞으로는 명곡들의 곡 분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동안 공부한 기초 화성학을 바탕으로 바흐(Johann Sebastian Bach), 쇼팽(Fryderyk Franciszek Chopin), 멘델스존(Jakob Ludwig Felix Mendelssohn-Bartholdy)의 곡에서 화성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곡을 분석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4 성부 합창에서 사용되던 화성 연결들이 명곡에서는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오늘은 첫 번째 포스팅으로 바흐의 곡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첫 번째로 분석해 볼 곡입니다. 작곡가는 커피칸타타의 주인공 바흐입니다. 아래 보시면 제가 간단히 로마 숫자로 곡에 어떤 화성들이 사용되었는지 분석을 해 놓았습니다. 그럼 천천히 살펴 볼게요.. 더보기 바흐가 사랑한 커피이야기, 커피칸타타 바흐가 사랑한 커피이야기, 커피 칸타타 여러분 커피 좋아하시나요? 노래 언니는 커피 사랑합니다. 하루에 1잔은 꼭 마셔야 하는 사람이랍니다. 혹시, 우리가 아는 바흐(Johann Sebastian Bach)도 커피 중독자였다는 거 알고 계시나요? 커피를 너무 사랑한 나머지 커피하우스에서 공연할 수 있는 음악 "커피 칸타타"를 작곡하기도 했답니다. 바흐와 커피에 대한 이야기를 포스팅해보겠습니다. ▶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 (Johann Sebastian Bach) 바흐는 1685년 독일에서 태어났습니다. 200여 년에 걸쳐 50명 이상의 음악가를 배출한 유럽 최대의 음악 가문에서 태어났습니다. 바흐는 9살 때 어머니, 10살 때 아버지를 잃은 뒤, 오르간 연주가였던 맏형에게 맡겨져, 학교 교육과 음악 교육을.. 더보기 디미니쉬코드(감3화음)가 어렵나요? 지금까지 공부한 주 3화음과 부 3화음 중 까다롭다고 느낀 화음이 있었나요? 대부분의 친구들이 감화음(Dimnished chord)을 어려워합니다. 구성음을 찾는 것부터 일단 어렵고, 이 화음들을 어디에 어떻게 사용하면 좋은 소리를 낼 수 있는지 잘 모르기 때문에 까다롭다고 느끼는 거 같습니다. 그래서 준비한 포스팅 입니다, 감 3화음(디미니쉬 코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감 3화음(디미니쉬드 코드) 감 3화음은 근음에 단 3도, 감5도를 쌓아 만든 3화음입니다. 악보를 봐주세요. 근음인 'B'로부터 3음은 단3도 위의 'D'음을, 5음은 감 5도인 'F'음을 쌓아 구성음 'B-D-F'를 가진 B디미니쉬드 코드가 만들어졌습니다. 많은 분들이 여기서 어려워하는 것이 나타나죠? 감 5도 ..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