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이제는 실전이다. 8마디의 곡을 써보자! 한도막 형식의 곡을 써보자! 모두들 기초 화성학 열심히 배우고 있으신가요? 지금까지 배운 모든 것들을 이제 내가 쓴 곡에 사용해 보는 시간을 가져볼까 합니다. 아무리 이론적으로 완벽하다 해도 실전에서 사용하지 못하면 배우는 의미가 없으니까요. 일단 곡에는 형식이라는 게 있답니다. 다들 음악시간에 배워봤을 거랍니다. 여러분 혹시 한도막형식, 두도막형식, 세도막형식이라는 게 있다는 거 기억하시나요? 간단히 말하면 작곡을 할 때의 큰 틀이라고 알고 계시면 된답니다. 오늘은 저것들을 전부 배우지는 않을 거고, 간단한 곡을 쓰는 게 목표니까 한도막 형식에 대해 간단히만 짚고 넘어갈게요. ▶ 한도막형식 (one part form) 작은악절(4마디) 2개로 이루어진 8마디의 곡을 뜻합니다. 보통 민요나 동요에서 많이.. 더보기 노래의 마무리 법칙, 바른마침이란 무엇인가? 노래의 마무리 법칙, 종지(cadence)란 무엇인가? 우리는 지금까지 곡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어떤 화음들이 쓰이고, 그 화음들이 어떻게 연결되면 좋은지에 대해 알아봤었습니다. 내가 좋은데로 막 사용하는 것보단 많은 작곡가들이 사용한 법칙을 이용해서 곡을 쓰면 훨씬 좋은 소리를 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제일 중요한 멜로디를 만들면, 그에 어울리는 반주를 만드는 과정이 필요하고, 이 과정에서 화성의 아름다운 진행을 위해서 우리가 하면 좋은 것들과 하면 안 되는 것들을 확실히 공부를 했다면, 지금부터는 곡의 아름다운 마무리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종지(Cadence) 앞의 포스팅에서 배운 화성 진행의 연결을 이용하면 끝을 알 수 없도록 긴 곡을 만들어 낼 수 .. 더보기 4 성부 합창 편곡의 베이스 실전편 4 성부 합창의 그 마지막 베이스 실전 편 드디어 4 성부 합창의 끝이 다가왔습니다. 끝까지 제 포스팅을 읽어 주신 분들 고맙습니다. 오늘은 베이스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아 보겠습니다. 베이스 문제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소프라노 문제보다 쉽게 해결하더라고요. 학생들은 아무래도 주어진 소프라노에 베이스를 넣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는 거 같았습니다. 그 이유는 어떤 음을 베이스에 넣느냐에 따라 4 성부 합창곡이 더 돋보이기도 하고 그냥 평범한 곡, 누구나 만들 수 있는 곡이 나오기도 하답니다. 이런 이유로 소프라노 문제를 풀어보면 그 학생의 실력이 확 나타난답니다. 반면, 베이스 문제는 주어진 '음'안에서 소프라노에 넣을 음을 선택하면서 멜로디를 작곡하는 것이기 때문에 접근하기.. 더보기 4성부 합창편곡의 소프라노 실전편 4 성부 합창 편곡 이제 직접 해봅시다. 내 것으로 만들면 되겠죠? 보통 클래식 화성학을 배우면 4 성부에 관한 문제를 많이 풀게 되는데요. 소프라노(멜로디)만 그려져 있고 나머지 성부인 알토, 테너, 베이스를 채워 넣는 문제가 있고, 반대로 베이스만 그려져 있고 소프라노, 알토, 테너를 채워 넣는 문제가 있는데요. 이 두 문제가 가장 많이 나오는 유형이랍니다. 먼저 소프라노 문제, 즉 멜로디만 그려져 있는 경우 어떻게 나머지 성부를 채워 넣는지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 소프라노 문제 1) 주어진 소프라노의 음을 따라 부르면서 조성을 파악과 분석을 합니다. 2) 계명으로 부르면서 베이스에 어떤 화음을 채워 넣어야 소프라노와 어울리는지 생각을 합니다. 이 과정에서 멜로디에 어울리는 반주를 만든다고 생각하.. 더보기 4성부 합창 편곡 시 이런 건 하면 안 돼요! - 3 4 성부 합창 편곡 시 이런 건 하면 안 돼요! 드디어 길고 긴 4 성부 합창 편곡에 대한 공부가 끝나갑니다. 최대한 간단히 쓰려고 노력했는데 결국 3개의 포스팅을 모두 해야만 끝나는 4 성부 편곡이 되어버렸습니다. 앞선 두 번의 포스팅에서는 4 성부를 구성할 때 필요한 기본적인 법칙, 원칙을 배웠다면 이번 포스팅에서는 하면 안 되는 금지된 진행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살짝 어려울 수 있지만, 이번에도 잘 따라와 주실 거라고 믿습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 금지되는 진행 1) 병행(竝行) 1. 5. 8도 두 성부 간의 진행에 있어서 완전 1도, 완전 5도, 완전 8도로 이루어지는 진행(병진행)은 금지됩니다. 이유는 무척 단순하답니다. 음정을 생각해 볼까요? 완전 1도는 같은 음을 2명이 부르는 거.. 더보기 합창과 스트링편곡 - 2 4 성부 합장 편곡할 때 알아두어야 하는 두 번째 사항 전 포스팅에 이어서 4 성부 합창에 대해서 더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4 성부 합창을 위한 화음 배치를 배우고 사용하면 현 편곡(스트링 편곡)이 훨씬 시워진다고 알려드렸었습니다. 각 성부의 음역대와 화음의 중복과 생략에 대해 먼저 알아보았고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어떻게 화음들을 자리 잡아야 좋은 소리를 나게 할 수 있는지에 대해 써보겠습니다. ▶ 밀집 위치(Close position)와 개리 위치(Open position) 4 성체(소프라노, 알토, 테너, 베이스) 구성에 있어서 상 3성이 1옥타브 안에 자리 잡느냐 혹은 1옥타브를 넘느냐에 따라서 두 가지 위치로 나뉘어집니다. 이런 법칙은 테너와 베이스의 사이에는 적용되지 않으므로 이 두 .. 더보기 4부합창을 배우면 스트링 편곡이 쉬워져요 - 1 성악, 4부 합창을 배우면 스트링 편곡이 쉬워져요! 지난 시간까지 화성학 기초에 대해 배워 봤습니다. 이제 이렇게 배운 기초들을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알아야겠죠? 우린 음학(音學)이 아니라 음악(音樂)을 배우는 거니까요. 힘들게 배운 것들 즐겁게 들을 준비를 하면 됩니다. 그래서 준비한 시간입니다. 합창을 위한 4 성부를 편곡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 4성체 구성 여태까지 배운 화음 구성은 성악에서 발달되었다는 점을 고려하여 혼성 4부 합창의 형태로 구성한답니다. 즉 소프라노(soprano), 알토(aito), 테너(tenor), 베이스(Bass)의 각 정부에 화음 구성을 배치하는 것입니다. 이런 구성 때문에 4 성부 편곡을 잘 배워두신다면 스트링 편곡에 많은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더보기 아름다운 화음연결(harmonic progression)이란? 아름다운 화음 연결(harmonic progression)을 위해 알아두어야 할 것들! 아름다운 소리, 멋진 편곡! 화음 연결만 알면 끝!! 앞선 포스팅에서 화성학 기초에 대해 많은 것을 배웠습니다. 다들 이해가 되었을까요? 음악이라는 게 글로서 풀어 쓰려니 저도 생각만큼 쉽게 안 되더라고요. 어떻게 써야 읽는 분들이 쉽게 받아들일 수 있을까 많이 고민하면서 쓰지만 정말 어렵답니다. 하지만 지금부터 써 내려갈 화음 연결(화성 연결)에 대해 알아보려면 앞에서부터 배웠던 모든 것들이 머릿속에 꼭 있어야 합니다. 음정, 조성, 조바꿈과 조옮김, 음계, 주 3화음과 부 3화음 및 자리바꿈. 이 것들이 모여서 이쁜 화음을 만들고, 또 화음들이 서로 연결돼서 아름답고 풍부한 소리가 나온답니다. 솔직히 지금까지 배운.. 더보기 한 키(key)만 올려줘! 이게 바로 조옮김!! 한 키(key)만 올려줘! 이게 바로 조옮김!! 이 번 포스팅은 조옮김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으로 채우려고 합니다. 조옮김과 더불어 쉬운 듯 안 쉬운 듯.. 하다 보면 헷갈리는 바로 그 골칫덩어리 조옮김(Transposition)! 지금 딱 집중해서 더 이상 어렵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일단 조옮김에 대해 간단하게는 알아봐야겠죠? 어떤 곡을 연주가의 음역에 맞도록 곡 전체를 그대로 높이거나 낮추는 것을 조옮김이라고 합니다. 서로 간의 음정 관계는 원곡과 달라지지 않아요. 더 자세한 내용은 "스치듯 조바꿈, 나에게 맞게 조옮김 하기" 포스팅을 봐주세요 위 포스팅 보셨나요? 조옮김하는 방법과 주의점에 대해 확실히 알게 되셨을 거라고 생각하고 바로 실전으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더보기 다시 해보는 조바꿈(전조) 조바꿈과 조옮김 이제는 쉽게 할 수 있다! 앞의 포스팅을 보신 분들이 계실까요? 며칠 전에 조바꿈(Modulation)과 조옮김(Transposion)에 대해 간단한 원리를 적어 놓았었는데요. 아마 그것만 보고 바로 알기는 어려우셨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저도 짧은 포스팅으로만 마쳤었는데요. 주 3화음과 부 3화음을 배웠고, 그 전위까지 배운 지금 다시 한번 조바꿈과 조옮김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 조바꿈 많은 분들이 어려워하시는 조바꿈에 대해 바로 들어갈게요. 조바꿈을 할 수 있는 방법은 많이 있지만,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 중 하나가 5도권(관계 조)에 있는 공통 화음을 잡고 조바꿈을 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관계조? 모르시겠다면 "관계조와 나란한조 어렵지 않아요" 포스팅 참고해..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