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성학

경과음과 보조음을 알고계시나요?

비화성음 중

경과음(Passing tone)과 보조음(Neighbouring tone)

 

 

 

오늘 포스팅할 주제는 바로 비화성음(Non-Harmonic tone)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그동안 곡 분석을 많이는 아니지만 해보았는데요,

혹시 제가 곡 분석을 할 때 비화성음이라고 적어 놓은 것 기억이 나시나요?

 

이번 시간에는 그런 음들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모든 음악이 화음 안에 있는 음들로만 이루어져 있다면 어떨까요?

굉장히 심심하고 재미없는 곡들이 탄생하게 될 거랍니다.

그래서 멜로디(소프라노)의 선율을 좋은 소리로 만들기 위해 사용하게 된 ,

화성 밖의 음들을 비화성음이라고 하는데요,

이런 비화성음에도 여러 가지의 종류가 있습니다.

 

오늘은 경과음(Passing tone)과 보조음(Neighbouring tone)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경과음(Passing tone)

화성음 사이를 순차로 경과시키는 음을 경과음이라고 합니다.

즉, 화성을 구성하는 음과 음 사이를 온음 또는 반음으로 순차 진행하여 메우는 음을

말합니다.

 

대체로 강박에서 화성음이 나온 뒤 약박에서 경과음이 나타납니다.

하지만, 강박에 경과음이 나온 뒤 약박에서 이어지는 경우도 있는데,

이를 가리켜 강박 경과음(Acc-ented passing tone)이라고 합니다.

 

경과음의 예

 

위의 악보를 분석해 보면 첫 박자와 두 번째 박자에서 사용된 화음은

으뜸화음(도-미-솔)입니다.

그런데 소프라노의 멜로디를 보면, 으뜸화음의 구성음 '도, 미, 솔'이외의 음인 '레'가

쓰여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화음의 구성음이 아닌 음을 '비화성음'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사용한 비화성음 중에서도 화성음 사이를 순서대로 메워주는 역할을 '레'음이 

했기 때문에 '경과음'이라고 부릅니다.

 

마찬가지로 2마디 첫 박자에 쓰인 딸림화음(솔-시-레)의 구성음이 아닌 '미'음이

사용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미'음 역시 화성음인 '파'와 '레'사이를 순차적으로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하는

비화성음 이므로 '경과음'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경과음은 소프라노뿐만 아니라, 알토나 테너, 베이스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위에서 처럼 약박이나 강박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경과음은 한 개의 성부에서만이 아니라, 두 개나 세 개의 성부에서 같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를 이중 경과음(Double-passing tone), 삼중 경과음(Triple-passing tone)이라고 한다.

 

아래의 예는 반음계가 경과음으로 사용된 곡입니다.

반음을 경과음으로 사용할 때에서 소리에 부딪힘이 생기므로 조심히 사용하여야 합니다.

반음을 경과음으로 사용하는 것을 반음계적 경과음(Chromatic passing tone)이라고 합니다.

 

 

반음계적 경과음의 예

 


▶ 보조음(Neighbouring tone)

화성음에서 위나 아래로 2도 이탈한 뒤 본래음으로 돌아가는 것으로 이때 이탈된 음을 보조음이라고

합니다. 이것도 역시 약박에 나타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때로는 강박에 나타나기도 합니다.

경과음과 마찬가지로 두 개, 세 개의 성부에서 동시에 나타날 수도 있고, 반음계적인 현상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이 있는데요,

반음계적은 보조음을 곡에 사용하고 싶으시다면, 이 보조음을 아래로 쓰는 것이 위로 쓰는 것보다 

해결이 쉽고 보다 음악적으로 들립니다.

 

정리를 하자면, 온음계를 보조음으로 쓰고 싶다면, 2도 위로 사용하고,

반음계를 보조음으로 쓰고 싶다면 2도 아래로 사용 후 돌아오는 것이 좋습니다.

 

보조음의 예

 

경과음과 보조음의 차이를 살펴보겠습니다.

경과음은 시작음과 경과음 해결음이 서로 순차 진행을 하고,

보조음은 시작음 이후 그 음에서 2도 위나 아래로 움직인 후 다시 시작음으로 

돌아가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경과음은 도(시작음)-레(경과음)-미(해결음)로 순차 진행하고,

보조음은 도(시작음)-레(보조음)-도(해결음)로 다시 돌아오는 진행을 합니다.

 


여기까지가 경과음과 보조음에 대한 내용이었습니다.

비슷하지만 다른 비화성음인데요,

곡을 쓸 때 사용하면서 멜로디를 살짝살짝 바꿔보는 걸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