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성학

이탈음과 전타음 대해서....

 

 

 

 

여러분 계속 이어나가는 비화성음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비화성음에도 종류가 많아서 포스팅이 길어졌는데요,

조금만 더 집중해서 봐주세요.

 

전 포스팅에서는 경과음(Passing tone), 보조음(Neighbourin tone), 

계류음(Suspension), 선행음(Anticipation)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혹시 잘 모르시다면 앞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이번 시간에는 2가지의 비화성음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바로, 이탈음(Escape tone)과 전타음(Appoggiatura)데 대해서 알아볼 텐데요,

어렵지 않으니까 집중해서 읽다 보면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 겁니다.

 


 

▶ 이탈음(Escape tone)

다른 명칭으로 '에샤페(Échappée)라고도 합니다.

선율(멜로디)을 장식하고 수식하는 역할을 하며, 약박에 쓰입니다.

 

이탈음은 화성음에서 2도(순차 진행) 진행하여 이탈한 후 반대 방향으로 도약하여 화성음으로 해결하는 

것입니다. 이탈음은 화성음과 화성음 사이에 들어가지만, 보조음(passing tone)과는 다르게 순차 진행을

위한 음 위치가 아닌 반대방향으로 음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보조음이 되지 않기 위해 2도 순차 진행 후 반드시 3도 이상 도약 진행하여 화성으로 해결이 

되어야 합니다.

 

 

이탈음의 예

 

 

 

이탈음은 2도 순차 진행 후 3도 이상 도약 진행하여 해결하면 되는데,

그러면 위의 악보처럼 화성음 사이에 뾰족한 모양의 음이 만들어지고, 이를 이탈음(E.T)으로 

표기할 수 있습니다.

 

해결음이 이탈음으로부터 3도 이상 도약하지 않으면 보조음이나 경과음이 되므로,

이탈음을 원할 경우 반드시 3도 이상 도약 진행하여 해결해 주어야 합니다.

 

▶ 캄비아타(Cambiata)

이탈음과 비슷한 원리를 가진 비화성음입니다.

이탈음은 2도-3도 진행으로 이루어지지만, 캄비아타는 3도-2도 진행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즉, 화성음으로 부터 3도 이상 도약한 후 순차 진행하여 화성음으로 해결됩니다.

 

주로 약박에서 사용됩니다.

 

 

캄비아타의 예

 

 

 


▶ 전타음(Appoggiatura)

갑작스럽게 도약해서 나타나는 비화성음이 2도의 순차 진행으로 해결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탈리아어로 '기대다'라는 뜻을 가진 '아포지아레(appoggiare)'에서 나왔습니다.

악보상 분석 시 'App.'로 줄여서 표기합니다.

 

캄비아타와 같이 도약 후 2도 순차 진행을 하지만, 전타음은 강박에서 주로 나타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바로크 시대부터 초기 낭만주의 시대의 음악을 연주할 때 , 연주자들은 관습이나 해석에 따라

악보에 기보 되지 않더라도 꾸밈음으로 전타음 기법을 사용하여 연주합니다.

꾸미려는 음의 위 또는 아래 음에 덧붙여 연주합니다.

 

 

전타음의 예

 

전타음은 캄비아타와 비슷하지만 3도 이상의 큰 도약을 한 수 2도 순차 진행하고. 

강박에 사용한다는 점이 다르다는 거 꼭 확인해 주시길 바랍니다.

 


▶ 지금까지 공부한 비화성음을 동요에 넣어 보겠습니다.

비화성음을 넣음으로써 멜로디 라인이 어떻게 바뀌면서 노래의 느낌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공부하기에 좋답니다.

 

 

학교종 멜로디 변화

 

 

우리가 너무나 잘 알고 있는 동요 "학교종"의 처음 4마디를 가지고 멜로디를 재편곡해봤습니다.

지금까지 배우 비화성음을 중간에 넣어 봤습니다.

 

2마디에 이탈음을 넣고, 3마디에 보조음과 경과음을 추가했습니다.

천천히 불러보시면 원곡과는 완전히 다른 느낌의 곡이 탄생한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렇게 별거 아니지만 비화성음을 넣음으로써 확연히 다른 느낌의 곡으로

변화시킬 수 있답니다.

 

여러분도 지금까지 공부한 비화성음을 사용해서 간단한 동요를 재편곡해보시는 건 어떨까요?

 

오늘의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