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성학

페르마타,스타카토등의 연주방법

기본 중의 기본, 여러 가지 연주법(창법)에 대해 알아보자!

 

 

페르마타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본이지만, 정확히는 잘 알지 못했던

연주 기호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흔히들 스타카토라고 하면 그 음을 짧게만 연주하는 것으로 알고 있을 텐데요,

정확한 연주법은 따로 있답니다.

페르마타 역시 여러 용법이 있고요,

다들 지금부터 천천히 확인해 주시면 됩니다.

 


 

이음줄

 

▶ 이음줄(슬러, slur)

음높이가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음을 이은 줄을 말합니다.

곡선으로 표시를 합니다.

연주법은 이음줄이 시작되는 음에서부터 끝나는 음까지 부드럽게 이어서 연주하라는

말과 같습니다.

레가토(legato)와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위의 악보를 봐주세요.

이음줄의 시 작음인 '도'부터 줄의 끝나는 음인 '미'까지를 최대한 부드럽게

음이 끊어지게 않게 이어서 연주하면 됩니다.

 


붙임줄

 

▶ 붙임줄(tie)

붙임줄은 '타이'라고도 합니다.

악보에서 같은 음 높이의 2개 이상의 음을 이은 줄을 말합니다.

이렇게 연결된 음들은 붙임줄의 시작음만 연주하고 줄이 끝날 때까지 다시 연주를 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위의 악보에서 1마디 4박자의 '솔'음은 붙임줄의 시작이기 때문에 연주하고

2마디 첫박의 '솔'은 붙음 줄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연주하지 않습니다.

즉, 위에서 '솔'은 1번만 연주하며 총 3박자 동안 소리를 이어서 내고 있으면 됩니다.

 

붙임줄을 사용하게 되면 셈여림이 변화하게 되는데,

보통 붙임줄의 시작을 강하게 연주하게 됩니다.

 

위의 경우 4/4박자에서 마지막 박자의 셈여림은 약박인데 붙임줄의 시작으로 인해

강박으로 연주하게 됩니다,

 

이렇게 붙임줄에 의해 셈여림이 바뀌게 되는 것일 당김음(싱코페이션, syncopation)이라고 합니다.

 


페르마타

 

▶ 페르마타(늘임표, fermata)

페르마타가 있는 음을 2-3배 더 늘려서 연주하는 것이라고 흔히들 알고 있을 겁니다.

이게 가장 흔한 연주법이긴 하지만 페르마타에는 몇 가지의 용법이 있습니다.

 

첫째, 이 기호가 붙은 음표나 쉼표를 실제로 적셔 있는 길이보다 늘여서 연주하라는 것입니다.

이 때는 늘임표라고도 불립니다. 박자를 늘이는 길이는 제한이 없고 연주자의 해석이나 악곡 중

기호가 붙어 있는 장소에 따라 달라집니다.

 

둘째, 곡의 마침을 표시해 줍니다.

앞 포스팅에서 배운 내용인데요, 다카포(D.C)나 달 세뇨(D.S)가 사용된 후 곡의 반복 연주 이후

겹세로줄 위에 페르마타가 표시되어 있는 곳에서 곡이 끝납니다.

 

셋째, 코랄에서 사용된 경우 단순히 단락의 숨쉬기를 나타내며 음을 늘이지 않는 것이 보통입니다.

 

페르마타에는 여러 가지 연주법이 있기 때문에 악보를 잘 살펴본 후 연주하시면 됩니다.

 


스타카토

▶ 스타카토(staccato)

악보상에서 음을 연주하거나 부를 때, 원래 박자의 반 정도의 길이로

끊어서 연주하거나 부르도록 하는 표시입니다.

음표의 머리 위나 아래에 작은 점을 적어 표시합니다.

음을 원래 박자보다 짧게 연주하게 되므로 나머지 길이만큼의 쉼표를 가지게 되는데,

그 정도에 관해서는 명확하게 규정되진 않았습니다.

 

따라서 곡의 분위기, 연주 악기 등의 여러 조건을 고려한 뒤 연주자의 해석에 따라

스타카토의 연주법 역시 달라집니다.

 

스타카토에도 3가지의 종류가 있습니다.

→ 스타카티시모(staccatissimo) : 원래 음 길이의 1/4길이(매우 짧게)로 연주하라는 뜻입니다

    악보상 기호는 '▼'로 표시됩니다.                

→ 스타카토(staccato) : 원래 음 길이의 1/2만큼 연주하면 됩니다.

    악보상 기호는 '·'으로 표시됩니다.

→ 메조 스타카토(mewwo staccato) : 원래 음의 길이의 3/4만큼 연주하고 나머지는 쉬면 됩니다.

    악보상 기호는 '^'로 표시됩니다.

 


분명 알고는 있었지만, 정확하게 몰랐던 연주 기호도 있을 텐데요,

이번 기회에 확실히 알고 정확하게 연주할 수 있도록 하면

좋을 거 같아서 준비한 포스팅이었습니다.

 

곡 분석은 작곡하는 분들만 하는 것이 아니라,

연주가들도 곡 분석을 해야 여러 연주 기호들을 자신만의 해석을 더 해

더 좋은 음악을 연주할 수 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