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성학

고급에 고급을 더한 Secondary dominant 7th chord (부속7화음)!

고급에 고급을 더한 Secondary dominant 7th chord (부속 7화음)에

대해 알아보자

 

 

 

 

이번 포스팅부터는 고급화성학에 대해 이어나가겠습니다.

드디어 기초화성학이 끝나고 고급 화성학을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기초 화성학은 Diatonic Harmony에 대한 내용을 공부했다면,

고급 화성학에서는 Non-Diatonic Harmony에 대해 공부하게 됩니다.

 

여기서 잠깐 알아볼까요?

 

Diatonic Harmony(다이아토닉 하모니)란? 

온음계 화성을 뜻합니다. 온음계 스케일 위에서 생기는 7개의 화음을 서로 연결하는

것을 말하고, 화음 구성과 성질을 분석하는 것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간략하게 말하면, 여태까지 배운 모든 것들이 다이아토닉 하모니랍니다.

 

Non-Diatonic Harmony(넌 다이아토닉 하모니)란?

반음계 화성을 뜻합니다. 온음계 스케일에서 생기는 음만이 아니라, 온음과 온음 사이에

발생하는 반음에 의해 나타나는 화음의 연결을 말합니다.

 


 

▶ Secondary domonant 7th chord (부속 7화음, 2차적 도미넌트)

속 7화음(Dominant 7th chord)에서 으뜸화음으로 해결되는 바른마침의 원리를 

부 7화음에 적용시켜서 인위적으로 속 7화음의 기능을 하게 만든 화음을 부속 화음(Secondary Dominant)

이라고 합니다.

이 화음은 대체로 7화음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주로 부속7화음(Secondary dominant 7th chord)으로

사용하게 됩니다.

다시 말하면 어느 조(key)에 속하는 속7화음을 원조의 부 7화음에 적용시키기 때문에 해결하는 목적 화음은

원조의 주화음 이외의 모든 화음이 됩니다.

이러한 화음들을 더욱 강조하기 위해서 인위적인 이끈음의 해결을 부여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기능은 3음을 반음 올려서 이끈음을 만들거나 3음이 이미 이끈음으로 작용할 수 있는 위치에

있을 때는 7음을 만음 내림으로서 이차적인 속 7화음을 만들게 됩니다.

따라서 해결의 목적 화음에서 5도 위의 이러한 변화가 생기게 됩니다.

 

위의 내용을 간단히 다시 요약해 보겠습니다.

1. 속 7화음(Dominant 7th chord, 딸림화음)에서 으뜸화음으로 해결되는 바른마침의

  원리를 이용한다.(Ⅴ7→Ⅰ)

2. 어떤 조(key)에서든지 7개의 온음에서 만들어진 3화음을 해결 화음으로 하여 완전 5도 위에

  속 7화음을 만들어 Secondary Dominant 7th chord(부속 7화음)을 만들 수 있다.

 

Secondary dominanant 7th chord의 예

 

다장조(C Major)에서 나타낸 부속 7화음(세컨더리 도미난트 7)의 예를 그려보았습니다.

처음에 그린 속 7화음(Ⅴ7)에서 으뜸화음(Ⅰ)으로의 해결은 원래의 조에 있는 온음계만으로 

만들 수 있는 화음이므로 1차적 도미난트라는 뜻의 프라이머리 도미난트라고도 합니다.

이것을 제외하고 만들 수 있는 속 7화음은 총 5개가 있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속 7화음(장 3화음+단 7도 = 근음+장 3도+단 3도+단 3도)은

부속 7화음 또는 Secondary dominant 7th chord라고 하며, 해결은 속 7화음과 마찬가지로 완전 5도 아래의

3화음으로 합니다.

 

예를 들어 2마디에 있는 A7코드 'A-C#-E-G'화음은 완전 5도 아래의 Dm코드(ⅱ)로 해결해야 하며

이것은 D minor의 속7화음과 같습니다.

 

이렇게 어떤 조에서든지 ⅶ˚화음을 제외한 모든 주 3화음과 부 3화음에서 완전 5도 위의 부속 7화음을

만들어 고급진 화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장조에서 ⅶ˚화음은 감 3화음이기 때문에 해결 화음으로 사용할 경우 불안정하고, ⅶ˚화음의

근음으로부터 완전 5도 위에서부터 속 7화음을 만들 경우 3화음을 모두 반음 올려야 하므로

사용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이런 이유로 단조에서의 ⅱ˚와 ⅶ˚화음 역시 부속 7화음의 해결 코드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동요 '학교종'

 

부속 7화음을 공부했으니 어디에 어떻게 사용해야 좋은지 알아보겠습니다.

위의 악보는 동요'학교종'에 부속7화음을 사용한 예입니다.

 

1마디부터 4마디까지는 그냥 평범한 코드를 사용하여 4 성부 합창곡으로

편곡을 해 본 것입니다.

으뜸화음과 버금딸림화음, 딸림화음만 사용되어 있습니다.

 

5마디 3박자에 보시면 다장조에서는 볼 수 없는 'F#'이 있습니다.

바로 여기에 딸림화음으로 해결하는 부속 7화음, 세컨더리 도미난트가 사용되었습니다.

구성음은 'D-F#-A-C'로 되어있고, 모두 딸림화음으로 해결되어 있습니다.

 

이후 부 3화음과 Dominant 7th chord를 사용하여 화음을 구성해 보았습니다.

7마디 마지막 박자 멜로디에 있는 'E'음은 비화성음인 이탈음(Escape tone) 처리를 하여 

속 7화음으로 정리하였고 바로 으뜸화음으로 해결되게 했습니다.

 


 

이처럼 같은 멜로디를 가진 곡이라도 Secoandary dominant 7th chord를 사용하여

고급진 반주를 만들 수 있습니다.

 

오늘 공부한 부속7화음로 12 key 연습은 필수입니다.